바탕화면에 위젯 추가하는 법

[2013/11/17] 업데이트. 앱을 SD카드로 이동하시면 위젯을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용량 부족에 대한 얘기가 많아 옵션을 제공하였습니다만 위젯을 제공할 방법에 대해 고민중입니다.

———————

앱에서는 위젯을 추가해줄 수 없습니다.
안드로이드 정책상 막혀있기 때문인데요, 각 앱들이 멋대로 바탕화면에 위젯을 추가해버린다면 금세 홈화면이 카오스가 될 것이기 때문에 타당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위젯을 추가해줘야하는데 방법은 간단합니다.
(홈스크린 런쳐에 따라 화면은 다를 수 있습니다!)

 

Add Widget
1. 위젯 추가하는 방법은 사용하는 홈스크린 런쳐에 따라서 조금씩 다를 수 있는데 보통 홈화면에 있는 ‘+’ 버튼이나 홈화면을 오래 누르고 있으면 나타나게 됩니다.

 

 

Find Widget
2. 위젯을 추가하는 화면을 찾아서 추가하고자 하는 위젯을 선택, 화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done
3. 완성!

애플의 2013년 1분기, 부진했나

애플이 홀리데이 시즌을 포함한 2013년 1분기의 회계발표를 했는데 아이폰 4780만대, 아이패드 2290만대를 판매하였고 매출은 545억달러, 순이익은 131억달러라고 밝혔습니다.

작년 1분기에는 아이폰 3700만대, 아이패드 1540만대 판매, 463억달러 매출에 130억달러 순이익을 냈었습니다. 아이패드의 탓인지 매출대비 순이익은 44%에서 38%로 떨어졌고 맥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판매량이 17% 줄었습니다.

from SplatF
from SplatF

그런데 실적발표이후에 시간외 거래에서 애플주가는 오히려 10%까지 급락하였다고 하네요. 무엇에 실망을 한 것일까요? 애플은 한분기에 구글이 2012년 한해동안 발생한 매출보다도 큰 매출을 만들었고 마이크로소프트가 한해동안 만드는 매출을 한분기에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With Apple, What A Difference A Week Makes

The real point is that everyone was spoiled by Apple’s Q1 2012. It really was the perfect fiscal storm. As I alluded to above, the iPhone launched that quarter for the first time that year. And the quarter was a week longer — which really matters since the iPhone is by far the largest part of Apple’s overall revenue (over 50 percent). So when we looked back to those gigantic numbers, we expected similar massive gains this year. But it didn’t happen. Quite frankly, I’m surprised Apple saw the gains it did given the “week off”. Clearly, this is a very healthy company.

테크크런치에서는 작년 2012년 1분기가 14주로 보통보다 한주많았던 것도 요인일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매출과 수익이 늘었고 주당 평균 매출로 보면 작년의 33억달러에서 올해는 42억달러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작년의 2012년 1분기는 특별했었는데요, 아이폰은 그 분기에 출시가 되었었고 한주가 길었기때문에 애플로써는 엄청난 성장을 이루어낼 수 있었습니다.

주가에 영향을 주는건 미래에 대한 성장성이긴 합니다. 하지만 수익의 증가세면에서도 작년과 같이 14주로 환산하여 계산하게되면 18%에서 27%의 성장세로 늘어나게 되며 이는 전 분기의 성장세와 동일한 수치이기도 합니다. 사실 시가총액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가치있는 회사인 애플로써는 여전히 이 정도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대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iPhone5

언론에서는 애플이 아이폰5 부품 생산량을 줄였다면서 아이폰5의 판매가 부진하다고 추측하기도 했는데요, 애플의 공급망은 복잡하기 때문에 한 공급처의 자료만으로 전체를 파악하는 것은 부정확하다고 CEO 팀 쿡이 밝히기도 했습니다.(관련링크) 사실 월스트리트저널에서 저 보도를 한 이후에 저 루머가 현실성이 없으며 주가 조작을 위한 것이 아닌가하는 얘기들이 많았습니다만 우리나라에서는 그닥 보도되지 않았죠. 게다가 월스트리트저널에서 보도한 6천5백만대라는 초기물량이란 수치도 의심스럽습니다. 그래서 월스트리트저널은 나중에 이 수치를 없애버렸죠.

애플이 정말 혁신성을 잃고 부진한 것일까요? 아니면 그동안의 눈부신 성장에 익숙해져버린 것일까요?

(언론들이 기사팔이를 위해 자극적인 기사를 내긴하지만 우리나라 찌라시들은 더욱 심한듯?)

  • 아이폰은 지난 분기 미국 버라이즌에서 판매된 모든 스마트폰중에서 63%의 점유율을 보였습니다.
  • 아이폰은 지난분기 미국에서 51.2%의 판매 점유율, 일본에선 66%의 판매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링크)
  • 애플TV는 작년에 비해 60%의 판매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 애플은 1371억달러의 현금을 가지고 있고 HP의 연간 매출이나 베트남의 GDP보다 높습니다. 삼성전자의 연간 매출은 1800억달러로 좀 더 높습니다.
  • 아이튠즈의 매출비중이 작년에 비해 25% 높아졌고 56개의 새로운 국가가 추가되어 119개의 국가에서 서비스중입니다.
  • 매일 20억개의 iMessage가 전송되었습니다.
  • 중국에서의 매출이 작년에 비해 67% 증가했습니다.
  • 삼성전자는 이번분기에 82억달러의 수익을 냈다고 발표

수동으로 AVD 삭제하기

“The android virtual device XXX is currently running in an emulator and cannot be deleted”라며 Android Virtual Device Manager에서 AVD를 삭제하지 못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가서 .android 디렉토리 아래의 avd 디렉토리에서 해당 AVD의 .avd와 .ini 파일을 삭제해버리면 된다.
(~/.android/avd/*.avd, *.ini)

x86 안드로이드 시뮬레이터에서 구글 지도 API 사용하기

  1. Android Virtual Device Manager에서 Target을 Google API를 포함한 “Google APIs (Google Inc.) – API Level 16” 같은 걸로 선택하여 AVD 생성
  2. 생성한 AVD 실행. emulator -avd name_of_avd
  3. 터미널에서 adb pull /system/etc/permissions/com.google.android.maps.xml
  4. adb pull /system/framework/com.google.android.maps.jar
  5. Android Virtual Device Manager에서 CPU/ABI를 Intel Atom (x86)으로 하여 AVD 생성
  6. 생성한 AVD 실행. emulator -avd name_of_avd
  7. adb remount rw
  8. adb push com.google.android.maps.xml /system/etc/permissions
  9. adb push com.google.android.maps.jar /system/framework
  10. mkfs.yaffs2.x86 다운로드
  11. adb push mkfs.yaffs2.x86 /data
  12. adb shell
  13. cd /data
  14. chmod 777 mkfs.yaffs2.x86
  15. ./mkfs.yaffs2.x86 /system system.img
  16. exit
  17. adb pull /data/system.img (...be patient)
  18. system.img을 avd 디렉토리안에 복사
  19. emulator 다시시작

How to use Google Maps API in Android emulator SDK version 17

경쟁사들보다 10배 뛰어나고자하는 구글

Larry Page

구글의 CEO 래리 페이지는 자주 인터뷰하는 편은 아닌데 이번에 Wired를 통해서 인터뷰한 내용에서 페이스북과 애플에게 살짝 디스도 날리면서 경쟁에 대한 생각을 밝혔습니다.

If you read the media coverage of our company, or of the technology industry in general, it’s always about the competition. The stories are written as if they are covering a sporting event. But it’s hard to find actual examples of really amazing things that happened solely due to competition. How exciting is it to come to work if the best you can do is trounce some other company that does roughly the same thing? That’s why most companies decay slowly over time. They tend to do approximately what they did before, with a few minor changes. It’s natural for people to want to work on things that they know aren’t going to fail. But incremental improvement is guaranteed to be obsolete over time. Especially in technology, where you know there’s going to be non-incremental change. So a big part of my job is to get people focused on things that are not just incremental. Take Gmail. When we released that, we were a search company—it was a leap for us to put out an email product, let alone one that gave users 100 times as much storage as they could get anywhere else. That is not something that would have happened naturally if we had been focusing on incremental improvements.

[…]

I feel like there are all these opportunities in the world to use technology to make people’s lives better. At Google we’re attacking maybe 0.1 percent of that space. And all the tech companies combined are only at like 1 percent. That means there’s 99 percent virgin territory.

비슷한 일을 하는 다른 회사를 이기려고만 하는 것에서 어떻게 세상을 바꿀 수 있나, 점진적인 발전은 결국 무의미해질 뿐이고 아직 99퍼센트의 가능성있는 영역들이 있다고 생각한다는 그런 내용인데 무인 자동차나 구글 글래스같은 실험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구글의 경영철학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위에서 밝혔듯이 Gmail도 그런 노력의 산출물이고요. 구글은 긴 투자가 필요하지만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내는 무인 자동차 같은 프로젝트들을 진행하는 Google X lab을 통해서 경쟁에서 10배이상 앞서나가겠다고 야심찬 주장을 밝혔습니다.

반면에 애플은 ‘매우 적은 수의 것들’에 집중하는 것으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페이지는 ‘그 방법이 애플에게는 잘 통하고 있지만 구글에서는 그게 별로 만족스럽지 못하며 기술로 인류의 삶을 발전시킬 많은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스티브 잡스가 안드로이드 OS때문에 구글과 핵전쟁이라도 치르겠다고한 이전의 코멘트에 대해서는 ‘그게 잘 진행되고 있습니까?’라며 안드로이드의 시장 점유율에 대해 매우 만족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여전히 iOS를 통해서 많은 광고 수익을 얻고 있고 안드로이드를 통해 돈을 버는 회사가 삼성이 거의 유일하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웃프네요.

또 페이스북에 대해서는 그들의 영역에서 매우 ‘강하지만’ 제품에 대해서는 매우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내렸습니다.(“doing a really bad job on their products.”) 페이스북이 최근에 새로운 기능인 Graph Search를 발표한 것을 생각하면 재미있네요.

많은 테크기업들 처럼 점진적인 발전과 경쟁에만 치중하지 않고 돈이 있는 기업들이 혁신을 위해 R&D에 돈과 시간을 투자해야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공감이 갑니다. 앞으로의 Google X lab의 프로젝트들도 기대가 되고요. 하지만 소셜에서는 Google+로 별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고 아직 안드로이드로 재미를 보지 못하는 걸 생각하면 큰 그림 없이 사업을 확장하는 것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됩니다. ‘선택과 집중’을 강조하던 애플의 방식, 그리고 전문이 아닌 분야에도 R&D를 투자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자하는 구글의 방식. 딱히 상반되는 얘기가 아닌 것 같기도 하고 정답이 있는 것 같지도 않네요.

구글외에도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나 SpaceX,  Tesla Motors의 엘론 머스크 등도 기술을 통해 인류의 삶을 발전시키기위해 투자하고 있지요. 우리나라에서는 카카오뿐 아니라 많은 벤쳐들이 성장하고 있고요. 큰 도약이 기대되는 시대입니다.

Google’s Larry Page on Why Moon Shots Matter

 

BeenTogether. 사랑한지